쌀 관련 자료실

RPC 수분 측정 잘못 되어진다.

박종덕(박산타) 2010. 10. 22. 09:00

수분측정이 잘못 되어지고 있다.

 

보내드리는 자료는 농민들이 애써지은 벼를 rpc 나 일반 영농단에 서

벼를 맡겨 건조할때 벼의 투입량과 최종 생산량을 계산하는 도표 입니다.

일부 RPC 나 영농단에서 이러한 기준을 무시하고 농민들에게

지나친 감량을 적용하여 농민들은 2중 3중고를 격고 있습니다

RPC 에서 1톤 산물 수매시 벼의 수분을 1%만 높게 책정해도

출하 농민은 11.7k의 손해를 보며 RPC  에서는 벼를 라인에 투입후 검사를 하기 때문에 이의를 제기해도 rpc 측의 주장만 밭아들여 질수밖에 없습니다.

벼를 반납밭을수 없으므로 농민은 많은 불이익을 당할수 밖에 없습니다

도 관내 농협, 개인 RPC 들이 산물수매 할때 벼의 수분 감모율 적용이

타당한지 검토바랍니다.

 

벼의 수분환산.pdf

 

 

 

 

RPC 내의 수분 측정기는 

최대 수분량과 최소 수분량의 중간을 취하도록 조정 되므로

한알이라도 청취( 프른쌀, 미숙미,수분함량높은쌀)가 

측정기에 걸릴경우 수분이 매우 높아지는데

일반농가는 이러한 경우 눈으로 확인한후 다시 측정하지만

rpc 컴퓨터에서는 최대값으로 기억 되므로  엄청난 손실이 있음

 

이를 바로 잡으려면

곡물의 수분 측정 회수를 5회 이상 실시후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중간 3개 측정치의 합산후 3으로 나누어

평균치를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농민들은 RPC 측의 컴퓨터 방식이 더 정확 하다는

일방적 주장에 대항할 방법이 없습니다.

 

시설용 전량수분계(호퍼스케일)

시설용 전량수분계는 고주파용량식 온라인 수분계라고도 불리며,

주로 미곡종합처리장과 같은 곡물처리시설에 사용되며,

벼의 전량측정에 따른 수분편차 축소로 농가간의 불공평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 수분계는 시료를 비파괴로 측정하며,

계량호퍼 내에 설치한 전기용량측정용 다판전극에 따라 전량의 수분치가 자동 측정되어 중량과 함께 표시 인쇄되고,

시설제어용 컴퓨터와 온라인 연결되어 농가로의 사무처리 전표를 작성한다.

이 원료곡물의 수분편차가 심할 때에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어쩌다가 한두개 섞인 청치로 인해 전체 수분이 상승되어 농민들의 원성이 있음

따라서 이것은 RPC 에서 판정 프로그램운용을 농민들이 주장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벼의 수분환산.pdf
0.26MB